이번 포스팅에선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찰 가능성(Observability)를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적절한 해결을 위해 고민한 내용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당시 팀에는 데이터 인프라가 전혀 없었고, 문제가 발생해도 원인 분석에 한참이 걸렸으며 사용자를 이해하기 위한 정보가 부족해 팀 내 의사결정과 소통이 어려웠습니다. 이런 팀의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제가 직접 문제를 정의하고 솔루션을 구축했습니다. (구축된 솔루션은 계속해서 디벨롭 중입니다.)
프로그래밍은 단순히 로직을 작성하는 작업이 아닙니다. 개발자 간의 아이디어와 의도를 코드로 소통하는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입니다.
명확하고 일관된 코드는 팀 협업을 원활히 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며, 더 나은 제품으로 거듭나는 기반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린 코드와 협업의 중요성을 엔지니어링 비용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React와 GraphQL(Apollo Framework) 환경에서 MSW(Mock Service Worker)를 활용한 React Hook 테스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테스트 구축이 프로젝트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까지 확인해보도록하겠습니다.
Web service Architecture
최근 웹서비스는 Front-end와 Back-end로 분리되어 개발되지만, 그 전엔 Web, Web Application Server, Database로 구성되어 개발되었습니다.
Web, WAS, Database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Korean, composition word
라틴어 기반의 문자들은 알파벳을 단순 나열하여 단어를 만들고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게다가 사람 손이 닿는 키보드 안에 모든 알파벳을 담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어는 다릅니다. 조합가능한 모든 한국어를 키보드로 준비할 수 없어, 자음과 모음으로 자판이 나뉘어졌고, 자음과 모음을 타이핑해 조합해서 하나의 글자를 만들며 단어와 문장을 만듭니다.
독특한 한국어가 컴퓨터에서 다뤄지는 방법, 브라우저에서 다뤄지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